브라우저 -----------> 톰캣(WAS) ---> 서버
우리가 브라우저 URL을 통해 해당 서버를 원격으로 접근하고자 할 때
중간에 톰캣이 있어야 실행이 가능하다!
그리고 첫 번째로 프로그램이 서버에 등록이 되어야 한다.
프로그램이 등록되었다면 해당 URL 요청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준다!!
즉,
1.서버에 프로그램 등록 후
2.URL과 프로그램 연결
1.서버에 프로그램 등록 후
1번과 2번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더 설명을 해보자면
프로그램 등록
@Controller --> 프로그램 등록
@RequestMapping(“”) 연결될 URL의 이름 지정해준다.
2. URL과 프로그램 연결
url 호출(예: localhost:9090/write)
톰캣 객체 생성
해당 jsp 호출하여 웹으로 뛰어서 보여줌
- 즉, 클라이언트 URL 요청--> 톰캣-->서버-->클라이언트 웹페이지에서 표현해줌
이렇게 진행이 된다.
추가로 톰캣의 기능을 설명하자면
우리가 프로그램을 등록할 때 객체를 생성하지 않는다.
그 이유는 톰캣에서 객체를 생성해주기 때문이다!
그래서 우리는 서버에서 아래와 같이 메서드만 정해주면 된다.
@GetMapping(“sdfa”)
public void test(){}
그리고 public을 static 붙여도 호출이 가능하나
톰켓에서 객체를 생성해놓고 호출을 한다.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 DI(1) (0) | 2023.07.02 |
---|---|
URL 인코딩 (0) | 2023.05.11 |
HttpServletRequest 요청 값 받는 다양한 방법 (0) | 2023.02.01 |
Http Requset /Response (0) | 2023.01.16 |
스프링 @Controller 사용법 (0) | 2023.01.1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