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java16

collection framework 스택과 큐(stack & Queue) 스택(Stack) : LIFO구조, 마지막에 저장된 것을 제일 먼저 꺼내게 된다. LIFO(Last In First Out) : 저장할때 순서와 추출할때 순서가 반대이다. 밑이 막힌 상자 저장: push 추출: pop 스택을 만들려면 배열이 더 효율적이다. 매서드 설 명 boolean empty() Stack이 비어있는지 알려준다 Object peek() Stack의 맨 위에 저장된 객체를 반환. pop()과 달리 Stack에서 객체를 꺼내지 않음 (비었을 때는 EmptyStackException 발생) Object pop() Stack의 맨 위에 저장된 객체를 꺼낸다 (비었을 때는 EmptyStackException 발생) Object push(Object item.. 2023. 8. 31.
collection framework : LinkedList 배열의 장단점 장점: 배열은 구조가 간단하고 데이터를 읽는 데 걸리는 시간(접근시간, access time)이 짧다. 배열은 연속적이라서 첫번째 요소를 읽는 시간이랑 마지막 요소를 읽는 시간이랑 같다. 내가 배열의 요소를 찾고자 하면 == 해당 배열의 주소 + (배열의 요소의 타입 크기 X index) 예를 들어 내가 찾고하는 배열이 int[ ] arr 배열이고 해당 주소가 0x100이다. 이때 내가 찾고자 하는 배열의 요소가 arr [10]이면, 0x100에서 배열의 타입이 int이기에 4byte와 index 10을 곱하면된다. 그래서 배열의 주소 == 0x100 + 4X10 즉, 0x140이 된다. 이렇게 배열의 요소만 알고 있어도, 쉽게 계산이 가능하기에 배열의 요소를 찾는 속도는 매우 빠르다. 단.. 2023. 8. 29.
[java] 배열 본 글은 [자바의 정석 3판 - 남궁성] 에 있는 5장 배열 파트와 자바의 정석 유튜브(남궁성의 정석코딩 - YouTube)에서 5장 배열 파트를 보고 요약한 글입니다. 배열이란 배열은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 배열은 각 저장 공간이 연속적이고 하나하나 붙어 있다. 아래의 abc 변수는 배열을 다루는 데 필요한 참조변수일 뿐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은 아니다. 즉, 배열은 기본형과 같은 순수 값을 저장하는 것이 아닌 주소값을 저장한다. int[] abc = new int[5]; 배열의 선언과 생성 배열의 선언 - 배열을 다루기 위한 참조변수 선언 배열을 선언하는 방법 선언방법 선언 예 타입[ ] 변수이름; String[ ] age; char[ ] number; 타입 변수이름 [.. 2023. 8. 12.
[java] 조건문, 반복문 본 글은 [자바의 정석 3판 - 남궁성] 에 있는 조건문, 반복문 파트와 자바의 정석 유튜브(남궁성의 정석코딩 - YouTube)를 보고 요약한 글입니다. 조건문, 반복문 조건문과 반복문은 제어문(flow control statement)이다. 조건문: 조건을 만족할 때만 { }를 수행(0~1번) 반복문: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{ }를 수행(0~n번) if문 조건식이 참(true)일 때, 괄호 { }안의 문장들을 수행한다. if (조건식) { // 조건식이 참(true)일 때 수행될 문장들을 적는다 } 블럭 { } 여러 문장을 하나로 묶어주는 것 if(score > 60) { System.out.println("aa"); } 위와 같이 조건문이 참일때 나오는 결과가 한 줄일 경우 아래와 같이 { }를 생.. 2023. 8. 10.